블랙아웃 및 블랙스크린 증상 발생 시 조치방법 안내 - 21. 12 .14 update

블랙아웃 증상이란?

PC 사용 중 화면이 갑작스럽게 깜빡이거나, 신호없음 상태에서 다시 전환되는 증상

1. 안정화된 드라이버 버전으로 클린 재설치

457.** 이상의 버전 드라이버에서 일부 PC에서 블랙아웃 문제가 발생(TDR  ISSUE)

arrow_forward_ios461.71 이후의 최신 버전 드라이버에서 수정된 사항으로, 최신 버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권장합니다.

arrow_forward_ios업데이트 이후에도 증상 개선이 되지 않을 시 아래의 방법을 통해 다른 버전의 드라이버 재설치를 권장 드립니다.

윈도우가 다른 버전일 경우 nvdia.com 에서 직접 해당 버전을 찾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.

DDU(드라이버 클린 삭제 툴)
*드라이버 클린 재설치 방법

Windows키 + R로 실행창을 띄운 후 msconfig 입력, 안전모드로 부팅 선택 후 재부팅,
안전모드에서 DDU 실행, 드라이버 제거 후 드라이버 설치 , 안전모드 해제 후 재부팅

드라이버 설치 후 오류 혹은 불안정한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아래의 안정화된 드라이버 설치를 권장드립니다.
(RTX3070FE : 457.51 드라이버 설치 바랍니다.)

각각의 사용환경에 따라 적용되는 버전이 다르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제일 안정적인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 해주셔야 합니다.

Windows 10 Pro 64bit / 456.55 drv
Windows 10 Pro 64bit / 456.98 HotFix
Windows 10 Pro 64bit / 457.51 drv (RTX3070 호환 드라이버)
2. NVIDIA 배포 TDR Hotfix 수정 레지스트리 적용(21/03/29 추가)

설치된 드라이버가 461.09 혹은 그 이후의 버전임에도 오류가 발생할 경우, 아래의 링크를 통해 레지스트리 다운로드 후 적용

mpo_disable.reg   :   수정 레지스트리(오류 발생 시 적용)
mpo_restore.reg   :   원복 레지스트리(레지스트리를 적용 전 상태로 복구)
NVIDIA 레지스트리 수정 안내 문서
3. 가변주사율(G-SYNC) 및 동적재생률 관련 옵션 OFF 설정

최근 출시된 게이밍 모니터, TV 혹은 일부 응용프로그램의 경우 소프트웨어 문제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윈도우 검색창(돋보기) > 그래픽 설정 > 동적 재생률 관련 옵션 끄기로 설정

바탕화면 우클릭 > NVIDIA 제어판 > 적응형 주사율 관련 옵션 끄기로 설정

4. HW가속(3D 가속)을 사용하는 브라우저,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해당 기능 OFF 설정

크롬 및 크롬 기반의 웹 브라우저와 일부 SW의 HW가속 기능에서 오류가 발생
해당 소프트웨어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 끄기
윈도우 검색창(돋보기) > 그래픽 설정 > 하드웨어 가속 옵션이 있는 경우 끄기

5. NVIDIA 드라이버 설정의 전원옵션 변경

바탕화면 우측 하단 NVIDIA 아이콘 우클릭 > NVIDIA 제어판 진입
3D 설정 관리 > 전역 설정 > 전원 관리 모드 > 최고 성능 선호로 변경

6. TDR 설정 변경

“Windows키 + R”로 실행창을 띄운 후 regedit 을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
HKEY_LOCAL_MACHINE/SYSTEM/CurrentControlSet/Control/GraphicsDrivers 경로로 이동
TdrDelay 와 TdrDdiDelay 값이 있는 경우 두 값 모두 10진수 값 60으로 수정
없는 경우 해당 경로에서 우클릭 > 새로 만들기 > QWORD(64비트) 선택하여 두 가지 값 모두 생성

7. 모니터 케이블 변경

20번핀이 없거나 더미 핀 처리가 되어있는 제품을 사용.
(20번 핀(전원공급)이 연결된 DP케이블로 사용할 경우 화면이 늦게 뜨거나 깜빡거림등
그래픽카드에 직,간접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)
구글링으로 “DP케이블 이슈” 검색하여 보시면 많은 자료가 나옵니다.

8. 라이저 카드 및 케이블 사용 시 탈거 후 그래픽 카드를 메인보드에 바로 장착

대부분의 라이저 관련 제품들이 PCI-e 3.0 버전 지원으로 인해 호환성 문제 발생

페이지 닫기